테니스의 기하학은 정말 아주 간단하다.
선수의 유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생각하고 분석하는 유형(B type)이고 다른 하나는 자동 항법 장치처럼 공을 치는 유형(A type)이다.
어느 유형이나 상관없으나 그들이 게임의 기하학적인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면 일관되게 이기지는 못할 것이다
A type의 player는 기하학적인 규칙을 따르기 위한 shot의 선택이 자기의 몸에 스며들게 하기 위해 연습을 충분히 해야 한다.
이런 규칙들은 자기의 일부분으로 자동화 되어야 한다.
그림들과 그 설명을 보기 전에 먼저 코트 기하학의 기본 원칙들을 살펴보자.
그림들과 그 설명을 보기 전에 먼저 코트 기하학의 기본 원칙들을 살펴보자.
1. down the line보다 crosscourt로 ball을 치는 것이 흔히 더 좋다.
2. crosscourt보다 down the line volley가 흔히 더 좋다.
3. 가장 좋은 위치는 상대방이 칠 수 있는 return의 각도의 정확한 중앙이다.
4. 네트 에 접근할수록 넓은 각도의 shot을 칠 수 있다.
5. 코트는 다음 The Rally Groundstroke Zone, The Aggressive Groundstroke Zone, No Person’s Land
그리고 The Volley Zone으로 네 가지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지역은 기하학 근거를 둔 장점과 단점이 있다. 현명한 선수들은 자기가 있는 지역에 따른 shot을 선택한다.
rally crosscourt
그림 1에서 player A 가 crosscourt로 ball을 치고 있고. 그림 2와 3에서는down-the-line으로 ball을 치고 있다.
baseline 뒤쪽에서 ball을 친다면(이 지역은 rally position이다), 중립적인 또는 수비적인 위치에 있는 것이다.
종종 이 지역에서 winner를 치기 위해 노력하는 선수들을 볼 때 놀라움을 느낀다.
여러분이 이미 알고 있다시피 down-the-line보다 crosscourt로 스트로크를 하는 것이 보통 좋다.
이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crosscourt로 칠 때 ball 이 net가 가장 낮은 지역을 통과하게 되므로 유리하다.
2. Crosscourt로 칠 때 down-the-line보다 직선거리가 대략 250cm 길다. 이 것은 error의 확률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림 1과 그림 2를 비교하면 확실히 그 차이를 알 수 있다. 이 것이 court 기하학의 원칙이다.
3. court 기하학은 상대방의 return 가능성을 고려할 때 특히 중요하다.각각의 그림의 좌우 화살표를 보아라.
그림 2에서 player A가 그림 1에서보다 상당히 더 많은 거리를 달려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치는 사람이 달리는 것을 즐기거나 발이 빠르지 않는 한 down-the-line은 상대방에게 기하학적인 이점을 주기 때문에 그리 sense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림 2에서 player A가 그림 1에서보다 상당히 더 많은 거리를 달려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치는 사람이 달리는 것을 즐기거나 발이 빠르지 않는 한 down-the-line은 상대방에게 기하학적인 이점을 주기 때문에 그리 sense가 있는 것은 아니다.
Volley down-the-line
그림 4와 5는 player A가 down-the-line으로, 그림 6과 7은 crosscourt로 ball을 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라운드 스트로크와 달리 volley는 net에 가까운 곳에서 한다. 이 곳에서의 기하학은 크게 바뀐다.
황금률은 volley를 straight로 하는 것이다.
우리는 보통 volley를 할 때 한쪽 사이드로 치우치므로 (상대방은 passing shot을 시도한다)
황금률은 보통 우리가 down-the-line으로 volley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적으로 기하학적인 면으로 보더라도 down-the-line volley가 보다 현명한 선택이다.
그림 4,5를 설명한다면 player A가 down-the-line volley를 했다.
실제적으로 기하학적인 면으로 보더라도 down-the-line volley가 보다 현명한 선택이다.
그림 4,5를 설명한다면 player A가 down-the-line volley를 했다.
상대방은 이에 대해 crosscourt pass를 했다.
방어하기가 어려울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림 6,7에서 달려야 할 거리를 비교해보라.
방어하기가 어려울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림 6,7에서 달려야 할 거리를 비교해보라.
그림 6과 7에서 volley를 crosscourt로 했다면 상대방은 down-the-line으로 straight하게 ball을 보낼 수 있다.
Player A는 이에 따라 더 빠르게 cover를 해야 한다. 실제 거리의 차가 많지 않다고 느낄 지 모르지만,
상대방이 down-the-line을 칠 수 있는 능력이 있을 때, 그림 6과 7처럼 ball이 더 빠르게 net를 넘어올 것이다.
즉 시간요소도 부가된다. 대부분의 volley는 down-the-line으로 치는 것이 좋다라는 말은 충분한 근거가 있다.
오직 예외가 있다면 court의 중앙에서 net play를 할 때이다.
여기서의 angle volley는 상대방에서 멀어지므로 winner의 가장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Center theory (중앙이론) by Ron Waite
어떤 shot이든 player는 상대방의 ball을 제일 잘 칠 수 있는 기회를 얻기 위한 위치고 복귀해야 한다.
그림 8,9,10,11을 보면 상대방이 return할 수 있는 지역의 중간에 위치할 때 좌우가 같아져 대응거리가 짧아짐을 알 수 있다.
Center theory는 항상 상대방이 return할 수 있는 영역의 중간에 위치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Center theory에 근거해 상대방의 shot을 하는 위치에 따른 자신의 위치는 정하는 간단한 방법은 상대방의 위치를
그대로 따라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대방이 ad court의 sideline에 위치한다면 자신의 위치도 ad court의 sideline의 같은 지점으로 한다.
매우 자주 player들이 ball을 치고 난 후 baseline에서 court의 중앙으로 바쁘게 돌아가는 것을 본다.
그렇지만 빈번히 그 곳은 상대방의 return 영역의 center가 아니다.
결과적으로 힘만 더 들고 상대방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여러분이 center theory를 따른다면,
코트 커버력은 매우 증가하게 될 것이다. 왜냐고? 이 것은 간단한 기하학이다.
Ball을 보낼 수 있는 Angle을 증가시키기 위해 net로 전진하라.
TV 경기를 보면서 포인트가 어떻게 나는지를 유심히 살펴 보아라.
Error가 아니라면 대부분 angle shot은 포인트로 연결되거나 아니면 기여를 한다.
Angle shot을 잘 치는 player는 보통 승률이 높다.
안드레 아가시가 매우 큰 각도의 angle shot을 치는 것을 보면 놀라울 따름이다.
안드레 아가시가 매우 큰 각도의 angle shot을 치는 것을 보면 놀라울 따름이다.
일부분은 그러한 shot을 칠 수 있는 것은 올바른 court 기하학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 들은 baseline이나 그 안쪽에서 ball을 치는 것이 그렇지 않을 때보다 칠 수 있는 각도를 크게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림 12에서 player A가 두 지점에서 ball을 보낼 때 생기는 각도의 차이를 볼 수 있다.
net에 가까이 갈수록 칠 수 있는 각도가 증가한다. 그러나 안쪽으로 갈수록 rising ball을 칠 수 있는 능력이 더 요구된다.
몇몇 player에게는 실행이 어렵고 믿을만한 방법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것보다는 net에 조금 더 접근해서 shot을 하는 것이 이점으로 작용한다.
작은 차이라도 큰 차이의 angle을 만들어 낼 수 있다.
Tennis Court의 4 영역
그림 13
그림 13을 참조하라.
Rally Groundstroke Zone은 baseline 뒤쪽 지역으로 대부분의 타구가 여기서 이루어진다.
여기서의 목표는 play를 유지하는 것이어야지 winner이어서는 안 된다.
이 zone에 있을 때는 전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다양한 spin, 다양한 높이의 ball을 보내면서 기회가 오기를 기다려야 한다.
이 지역은 기하학상 winning angle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중립 또는 수비적인 위치이다.
Aggressive Groundstroke Zone은 매우 공격적인 위치가 될 수 있다. 이 지역은 baseline 또는 baseline 안쪽 지역이다.
조금 만 더 전진해도 공격적인 shot이 가능해지는 것을 허용한다.
Heavy하고 hard한 angle shot은 빈번히 결정구가 된다. 이 위치는 안드레 아가시가 좋아하는 지역이다.
No Person’s Land는 가장 ball을 치기 까다로운 지역이다.
이 지역에서 스트로크를 치기에는 너무 가깝고 상대방의 ball은 대부분 발목근처로 떨어진다.
volley는 너무 낮게 처리할 수 밖에 없어 상대편의 원하는 지점이나 깊은 곳으로 보내기가 아주 어렵다.
결과적으로 half volley가 유일한 선택이다. Half volley는 타이밍과 정교함이 요구되고
수비적인 shot이 되므로 가능하면 언제든지 이 지역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문제 지역을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net로 전진하든지 baseline 안쪽으로 물러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앞으로 전진하는 것이 원칙이다.
점수를 잃더라도 전진하는 것이 낫지 이 지역으로 몰려서 어려운 볼을 처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Volley zone은 net에서 120cm 정도 떨어진 지역에서 서비스라인 근처까지의 영역이다. 가장 공격적인 지역이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첫 volley에서 point를 내려고 하지 마라 라는 것이다.
통계상 두 번째 volley의 point 연결 비율이 높다.
Court의 기하학은 tennis를 잘하려면 알아야 할 game의 한 영역이다.
조금 더 많은 시간을 테니스의 수학에 투자하라 그렇게 한다면 여러분이 테니스의 마스터가 되는 것을 보장한다.
Court의 기하학은 tennis를 잘하려면 알아야 할 game의 한 영역이다.
조금 더 많은 시간을 테니스의 수학에 투자하라 그렇게 한다면 여러분이 테니스의 마스터가 되는 것을 보장한다.
출처 : 테니스 산책
글쓴이 : 봄내파워 원글보기
메모 :
'테니스 기초기술 > 테니스 기술 - 정진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테니스의 흐름과 최신 테크닉 동영상 (0) | 2009.06.14 |
---|---|
테니스선수 훈련법 (0) | 2009.06.13 |
스핀서브강의 (0) | 2009.05.20 |
[스크랩] 테니스 전, 후 스트레칭 (0) | 2009.05.18 |
[스크랩] 원핸드 백핸드 연구 (0) | 2009.05.18 |